
오늘은 파이썬의 기본이 되는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수
변수(variable)이란 중학교 수학에서 배우듯이 정해지지 않은 숫자를 의미합니다.
중학교 시간에 x, y라는 문자를 가지고 방정식을 풀고 함수를 그리고 했었죠.
방정식을 풀면 변수 x, y 값이 어떤 상수로 정해집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문자열, 숫자열, 리스트 등의 값을 지정해주는 문자입니다.
예를 들면, 'hello world'라는 문자열(string)을 그냥 쓸 수도 있지만, greeting이라는 변수에 지정(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greeting = "Hello world" # 변수 지정
print("Hello world") # 그냥 출력
print(greeting) # 변수
Hello world
Hello world
그냥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고, 변수를 써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변수를 지정한다고 해서 출력이 되지는 않습니다.
변수의 장점은 어떤 값의 의미를 변수 이름을 지정할 수도 있고, 다시 사용할 때 매 번 값을 안 써도 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c = 25 # 현재 날씨의 온도 (섭씨)
f = c * (9/5) + 32 # 섭씨 -> 화씨 변환 공식
print('오늘 날씨는 화씨', f,'도 입니다.')
오늘 날씨는 화씨 77 도 입니다.
c라는 변수를 현재 섭씨 온도로 지정했기 때문에 자동으로 f라는 화씨 온도 변수가 계산되어 지정됩니다.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열이나 리스트도 변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my_str = '오늘 날씨 어때?'
my_list = ['오늘', '날씨', '어때?']
print(my_str)
print(my_list)
print(my_str.split())
오늘 날씨 어때
['오늘', '날씨', '어때']
['오늘', '날씨', '어때']
마지막 줄 예시처럼 변수에는 메소드를 적용해 다양한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함수와 메소드를 정리할 때 자세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변수를 지정할 때 '='이라는 등호를 사용하게됩니다.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수학에서 쓰이는 등호와 다른 의미라는 것입니다.
var1 = 10 # var1에 10 지정
print(10 == 10) # 10과 10이 같은가?
print(var1 == 10) # var1이 10과 같은가?
True
True
파이썬에서 '='는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정의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첫번째 줄은 var1라는 변수를 10으로 정의한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학적 의미의 등호인 '같다'는 파이썬에서 '=='로 적습니다.
두번째 줄과 세번째 줄에 10과 10이 같은지, var1과 10이 같은지 참 거짓을 묻고 있습니다.
첫번째 줄에서 var1을 10으로 정의했기때문에 둘 다 True라는 출력이 나옵니다.
변수를 활용하면 파이썬에서 무궁무진하게 코드를 짤 수 있습니다.
더 필요한 내용은 추가적으로 수정하며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파이썬 기초 5] Round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4.17 |
---|---|
[Python/파이썬 기초 3] input()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4.02 |
[Python/파이썬 기초 2]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4.02 |
[Python/파이썬 기초 1] print() 함수를 알아보자 (2) | 2024.04.02 |